교육혁명공동행동 소개


교육혁명공동행동은?
 
• 교육은 상품이라는 자본의 담론을 근본에서부터 혁파하며, 노동자 민중의 보편적인 권리인 교육의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을 전개해갈 것입니다.
• 총체적인 교육공공성 실천의 상과 경로를 제시하고 노동자 민중 중심의 ‘교육의 새로운 판’을 만들고자 합니다.
 
 
교육혁명공동행동의 참가단체
 
(2013년 5월 현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수노동조합,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학술단체협의회, 평등교육실현전국학부모회, 학벌없는사회, 함께하는교육시민모임, 입시폐지대학평준화국민운동본부, 장애인교육권연대, 청소년인권행동아수나로, 서울대법인화반대공동대책위원회, 교육노동운동의전망을찾는사람들, 노동자연대다함께, 노동해방실천연대, 문화연대, 사회주의노동자정당공동실천위원회, 사회진보연대, 좌파노동자회, 학생변혁모임, 현장실천사회변혁노동자전선, 강원교육연대, 경기교육연대 꼼, 관악동작학교운영위원회협의회, 대전교육연구소, 충북교육연대, 전북교육연대.
 
 
교육혁명 공동행동 구성 관련 경과보고
 
- 2003년 ‘WTO교육개방저지와 교육공공성실현을 위한 범국민교육연대’ 연구위원회가 2004년 전교조 등과 함께 [공교육 새판짜기] 책자를 발간. 공공성에 입각한 민중진영의 공교육개편방안을 제출.
- 2007년 범국민교육연대 대선을 앞두고 [민중진영의 대선 교육분야 10대정책] 책자를 발간
- 2007년 ‘입시폐지대학평준화국민운동본부’ 구성
- 2009년 범국민교육연대 2009 교육운동포럼: 교육운동의 방향 재정립 논의
- 2010년 범국민교육연대 2010 교육운동포럼: 대학체제 개편방안 논의 촉발
- 2010년 8월 25일 범국민교육연대와 입시폐지대학평준화국본 공동으로 대학체제개편방안 마련을 위한 포럼제안 및 구성
- 2011년 2월 ‘국립대법인화반대-대학등록금인하-교육공공성실현 공동행동’ 결성. 이후 법인화반대집회, 대학체제개편방안 관련 전국순회토론회.
- 2011년 교육공공성실현을 위한 도보대장정 조직위원회 구성을 제안함.
- 2011년 3월 범국민교육연대 회의 집행위에서 (가칭) 교육혁명 연석회의 제안됨
- 2011년 5월 (가칭) 교육혁명 연구위원회 구성결의
- 2011년 7월-8월 ‘대학등록금 폐지!- 국립대법인화반대!’ ‘입시폐지-대학평준화’ ‘비정규직 정규직화’ 교육공공성실현을 위한 도보대장정
- 2011년 8월 교육혁명 연구위원회 초안 검토회의
- 2011년 8월 도보대장정 조직위 평가회의에서 향후 도보대장정에 제시한 주요 슬로건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교육 노동 시민운동진영의 공동 틀을 재구성할 것이 제안됨
- 2011년 9월 23일 교육혁명 공동행동(준) 구성
- 2011년 12월 3일 범국민교육연대와 교육혁명공동행동(준) 주관 ‘2011년 교육운동포럼’ 개최. 교육공공성실현방안 제출.
- 2012년 1월 10일 ‘2012년 교육정세전망 및 사업계획수립을 위한 공동웍샵’
- 2012년 2월 총선 대선 승리를 교육단체 연석회의 출범 준비 논의
- 2012년 2월 28일 교육혁명 공동행동 출범
 
 
교육혁명을 위한 공교육개편 10대 의제
 
1. 공공성과 평준화에 입각한 새로운 대학체제-‘교양과정·공동학위 대학통합네트워크’ 건설
2. 입시경쟁교육, 사교육을 일소하고 초중등교육을 정상화할 ‘대학입학자격고사’의 실시
3. 외고, 자사고 폐지를 통한 ‘고교평준화’의 재정립 및 ‘통합중등학교체제’로의 이행
4. 유아교육의 공교육화(4~5세 무상교육)
5. 영·수·국 중심, 우열반 편성의 교육과정을 대체할 ‘발달’과 ‘협력’중심의 교육과정 수립
6. 대학을 포함한 무상교육의 전면적 확대
7. 학교자치위원회와 대학평의회 구성으로 민주적 학교운영체제 구축
8.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 교육환경의 획기적 개선
9. 비정규직 교수를 포함한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10. 학벌차별 철폐의 제도적 방안 마련과 대학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공부문의 확대
 
 

댓글 없음:

댓글 쓰기